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구기자를 섭취하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 효능, 부작용, 그리고 먹는 방법과 섭취 방법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야 제대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만병을 통치하는 약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병에 두루두루 효능이 있는 약을 굳이 하나 찾을 수 있다면 구기자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구기자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기자 정보
구기자란?
구기자나무는 통화식물목 가짓과의 낙엽 관목입니다. 보통 가짓과라면 가지, 고추, 감자, 토마토 등만 알 고 있을 텐데, 구기자나무도 가짓과라는 것은 의외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구기자라고 하는 것은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말합니다.
영양성분 및 효능
기운이 서늘한 편
일부 서적에 보면 성질이 따뜻하다고 한 기록도 있지만 대부분의 한의서에서는 성질이 서늘하고 찬 편에 속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구기자 열매와 마찬가지로 줄기나 뿌리도 성질이 서늘합니다. <본경 속소>에는 줄기껍질은 차고 뿌리껍질은 아주 차며 열매는 약간 차다라고 했습니다.
전형적인 보약이다
실제로 많은 한의서 보약 처방에 구기자가 많이 들어갑니다. 만일 구기자가 포함된 처방이라면 보약으로 여겨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성기능을 강화
<급유방>에는 정기를 더하고 골수를 잘 간직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음기를 튼튼하게 하여 양기까지 굳세게 만든다고 했습니다. <동의보감>에는 오로칠상으로 성생활을 잘하지 못하는 경우를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오로칠상이란 갖가지 종류의 과로와 함께 다양한 이유로 몸이 축난 것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따라서 구기자는 만성피로에 좋고 몸에 활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항노화작용
<급유방>에는 혈을 길러주고 눈을 밝게 하며 정신을 편안하게 하고 노화를 방지한다고 했습니다. <동의보감>에는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더위와 추위를 타지 않고 장수한다고 했습니다. 구기자는 대표적인 항노화 식품 중 하나입니다.
안색을 좋게 한다
<본초강목>에는 얼굴에 기미와 주근깨가 생기는 증상에 구기자를 술로 담가 오래 먹으면 얼굴이 아이처럼 된다고 했습니다. <본초정화>에는 정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고 안색을 바꿔준다고 했습니다. 굳이 술이 아니더라도 구기자를 끓여서 먹거나 환으로 만들어 먹으면 좋습니다.
여성의 피부 건강과 여성 난임에 도움이 된다
<항약집성방>에는 구기자전은 여자의 신비하고 효과 있는 처방으로서 천금을 주어도 전하여 주지 않는다는 처방으로 신단전이라고도 합니다. 부인이 임신하지 못하는 것과 냉병에도 효과가 있으니 항상 복용하면 안색이 좋아지고 15~16살 같이 보이게 한다고 했습니다. 구기자는 여성의 피부 건강뿐 아니라 여성 난임에도 도움이 됩니다.
관절염에 도움이 된다
<본초강목>에는 뿌리껍질은 풍미과 습비를 치료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라고 했습니다. 풍비나 습비는 비바람을 맞으면서 노동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팔다리 마비증상이나 저림 증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골피는 관절염에 도움이 됩니다.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갈증을 줄여줍니다.
구기자와 함께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을 먹으면 갈증을 줄여줍니다. <본초정화>에 따르면 구기자는 목이 마르는 증상, 갈증이 나서 물을 찾는 것, 신장병으로 인한 소갈병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나무껍질은 열로 인한 소갈을 치료한다고 했고 뿌리껍질은 소갈병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눈을 밝게 한다
특히 구기자에는 베타인과 지아잔틴이라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풍부해 간기능을 활성화시켜 피로해소 효과가 있고 예로부터 안구건강에 최고의 약재로 손꼽히는 구기자입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소화기가 약해서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소화기가 약하고 몸이 찬 소음인들이 구기자를 진하게 달여 먹으면 설사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본초강목에는 지금 사람들은 대부분 구기자를 보해 주는 약으로만 여기는데 허실과 냉열을 살펴 써야 한다라고 했습니다. 구기자는 허증과 열증에 적합한 약재입니다.
먹는 법
구기자는 보통 차로 많이 먹습니다. 건 구기자, 가루 먹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물 2L에 건 구기자 40g을 넣고 약한 불에 30분 이상 끓이면 완성입니다. 차가 아닌 구기자물을 만드는 방법은 구기자차와 생수를 1:1 비율로 섞어 마시면 됩니다. 이어 구기자 환을 만드는 방법은 구기자 가루와 계핏가루, 꿀을 5:1:2로 섞어 손으로 돌돌 말아먹으면 됩니다. 구기자차 하루 권장 섭취량은 1일 3잔, 구기자 가루 하루 섭취량은 1일 3스푼이 적당합니다.